[답변] 죽음에 대하여 > 자유 게시판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부산 흥사단

커뮤니티
 
·
·
·
·



부산흥사단 회원가입하기
부산흥사단 후원하기

YKA 산악회


페이지 정보

[답변] 죽음에 대하여

작성자 송명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8.♡.133.244:2160) 작성일09-03-23 00:00 조회8,535회 댓글0건

본문

이곳에서 다양한 사람들이 유익한 정보를 공유하는 자리입니다.

따라서 특정 종교에 대한 이야기를 삼가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차후 진행에 있어서는 무조건 삭제하겠습니다.




----- 원본 메세지 -----
작성자: 하얀마음
시간: 2009-03-19 10:49:55/123.215.125.15:3459
제목: 죽음에 대하여

죽음에 대하여

우리가 신체적으로 얼마나 건강하든
혹은 얼마나 부유하든 간에,
하루하루를 살아가는 동안에도 죽음은
우리 위에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습니다.
죽음은 우리가 다음번에 길을 건널 때나
침대에 누울 때 우리에게 닥칠 수 있습니다.

뉴욕 시와 워싱턴 D.C.에서 2001년 9월 11일에 일어난
테러 공격과 같은 재난들은, “맨 마지막 5적”인 죽음이
모든 연령층에 속한 각계각층의 사람들로부터
희생자들을 모으고 있으며, 때로는 단 몇 분 만에 수천 명의
희생자들을 거두기도 한다는 사실을 절감하게 만듭니다.
고린도첫째 15:26.

그럼에도 불구하고, 죽음은 사람들에게
묘한 매력을 풍기는 것 같습니다.
죽음에 대한 보도, 특히 끔찍한 상황에서 많은 사람들이
사망한 일에 대한 보도보다 더 많은 신문을 팔리게 하고
더 많은 사람들을 텔레비전 수상기 앞으로
끌어들이는 것은 없는 것 같습니다.

전쟁으로 인한 것이든, 자연재해로 인한 것이든,
범죄나 질병으로 인한 것이든, 사람들은 죽음에 대한
보도에 싫증을 내는 법이 없는 것 같습니다.

죽음에 대한 이러한 집착은, 대중에게 잘 알려진 사람이나
유명 인사가 죽었을 때 나타나는 강렬한 감정의
표출에서 가장 당혹스럽게 표현됩니다.

죽음에 대한 이 모든 반응들을 부인할 수는 없습니다.
사람들은 여전히 죽음, 다시 말해서 다른 사람의 죽음에 대해
묘한 매력을 느낍니다. 하지만 사람들은 자기 자신의
죽음이라는 문제에는 움찔하며 외면합니다.
우리 자신의 죽음은 우리 대다수에게 생각조차 하기 싫은 논제입니다.

우리 자신의 죽음에 대해 생각하는 것은 언제나 불쾌한 일이며
앞으로도 항상 그러할 것입니다. 이유가 무엇입니까?

하느님께서 우리에게 영원히 살고 싶은 강한 욕망을 심어 놓으셨기 때문입니다.

「앵커 바이블」에는
전도서 3:11이 이렇게 번역되어 있습니다.
“그분은 또한 그들의 마음속에 영원을 넣어 두셨다.”
따라서 죽음을 피할 수 없는 현실은 사람들에게 내적인 갈등,
다시 말해서 사라지지 않는 부조화를 일으켜 왔습니다.

이러한 내적인 갈등을 해소하고 계속 살고 싶은 자연스런
열망을 충족시키기 위해, 사람들은 영혼불멸 교리에서부터
환생에 대한 믿음에 이르기까지 온갖 종류의 신앙을 꾸며 냈습니다.

아무튼, 죽음은 걱정스럽고 무서운 일이며, 죽음에 대한
두려움은 보편적인 것입니다. 그러므로 인간 사회가 대체적으로
죽음이라는 전망에 대해 위협을 느끼는 것도 놀랄 일이 아닙니다.
한 가지 점으로, 죽음은 부와 권력을 추구하는 데 전력을 다하는 삶이
결국은 무익하다는 사실을 밝혀 줍니다.

과거에는, 치유가 불가능할 정도로 아프거나 치명적인
부상을 당한 사람은 보통 자기 집이라는 익숙하고
정겨운 환경 속에서 숨을 거둘 수 있었습니다.

성서 시대에도 흔히 그러한 일이 있었으며,
아직도 일부 문화권에서는 그러한 일이 있습니다.
(창세 49:1, 2, 33)

그러한 곳에서는, 가족이 함께 모이며 자녀들도
죽어 가는 사람과 대화를 나눕니다. 그로 인해 가족 성원 각자는
자신이 혼자서만 슬퍼하는 것이 아니라는 느낌을 갖게 되며
책임을 공유하고 함께 애통함으로 위로를 받게 됩니다.

이러한 관습은, 죽음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이 금기시되어 있고
그러한 이야기를 음울한 것으로 여기며 자녀들이 죽어 가는 사람과
대화하는 것은 “감당하기 힘든” 일이라고 생각하여 자녀들을
제외시키는 사회의 관습과는 큰 대조를 이룹니다.

이제 죽음을 맞는 일은 여러 면에서 달라졌으며,
사람들은 흔히 더 외롭게 죽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집에서 가족들이 평화롭고 사랑스럽게 돌봐 주는 가운데
죽음을 맞고 싶어하지만, 많은 사람들에게 있어 냉혹한 현실은,
병원에서 섬뜩하게 늘어서 있는 첨단 의료 기기들에 연결된 채로
대개 외롭고 고통스럽게 죽음을 맞는 것입니다.

한편, 이름 모를 수많은 사람들은 민족 말살, 기근, 에이즈, 내전
혹은 그저 심한 가난에 희생되어 우리가 모르는 사이에 죽어 갑니다.

곰곰이 생각해 보아야 할 논제입니다

성서는 죽음에 대해 숙고해 보는 것을 막지 않습니다.
사실, 전도서 7:2은 우리에게 이렇게 알려 줍니다.
“애도하는 집에 가는 것이 연회를 벌이는 집에 가는 것보다 나으니,
모든 인간의 끝이 그러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죽음이라는 현실에 직면하게 될 때, 일상적인 염려들과
활동에서 잠시 벗어나 덧없는 삶에 주의를 기울이게 될지 모릅니다.
그렇게 하는 것은 삶을 그저 되는대로 살거나 허송세월을 보내는 것보다
더 의미 깊은 방법으로 사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삶의 본질이 그러하듯이, 죽음의 본질도 인간이 설명하거나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의 범위를 넘어서는 것입니다.
죽음이라는 문제에 대해 신뢰할 수 있는 권위를 가지고
말하실 수 있는 분은 우리의 창조주밖에 없습니다.

그분에게는 “생명의 근원”이 있으며, ‘
죽음에서 벗어나는 길도 그분에게 있습니다.’
(시편 36:9; 68:20)

놀라게 될지도 모르지만, 죽음에 대한 널리 퍼져 있는
신앙들을 하느님의 말씀의 빛에 비추어 검토해 보면
위로와 새 힘을 얻게 될 것입니다. 그러한 검토는,
죽음이 반드시 모든 것의 끝은 아니라는 점을 밝혀 줄 것입니다.

궁금한 점들에 대한 문의는 방문하는
여호와의 증인들과 대화해 보시기 바랍니다

blank.gif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자유 게시판 목록

Total 394건 18 페이지
자유 게시판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39 포럼 미래광장 창립식 및 천정배의원 초청강연 안준노 이름으로 검색 2007-05-28 8726
138 [부산국악원]스트레스도 날리고 선물도 받고“국악 숲을 뛰놀다” 국립부산국악원 이름으로 검색 2010-07-17 8725
137 한국진보연대가 드리는 그림편지... 부산민중연대 이름으로 검색 2008-09-29 8716
136 당뇨에 좋은 음식 - 식품 두레박 이름으로 검색 2012-01-01 8692
135 평화통일 걷기대회 참가신청(5월28일오후2시부산어린이대공원) 부산지역대북협력민간단체협의회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이름으로 검색 2011-04-08 8672
134 송다솔 거문고 독주회 보도자료 첨부파일 차동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4-11-03 8627
133 4대강 사업 전면 재검토 국민서명운동!! 부산환경운동연합 이름으로 검색 2010-02-04 8618
132 모니터 일지 첨부파일 청소년유해환경 이름으로 검색 2010-07-24 8611
131 공중도덕 잘 지키기운동 최석희 이름으로 검색 2007-11-29 8608
130 일본 젊은이들의 아베총리 반대 데모 동영상이 유투브에 올려졌기에 공유하고자 합니다. 차동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5-07-24 8605
129 (구인) 성실하고 유능한 인재를 다음과 같이 모집 공고합니다. (사)장애우권익문제연구소 부…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이름으로 검색 2007-09-13 8555
128 감사합니다. 이동훈 이름으로 검색 2008-12-23 8547
열람중 [답변] 죽음에 대하여 송명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9-03-23 8536
126 [알림] 해외동포넷 총회 해외동포넷 이름으로 검색 2007-07-02 8534
125 [시청자미디어센터]제3회 부산장애인영화제가 열립니다. 첨부파일 시청자미디어센터 이름으로 검색 2008-09-17 8534
게시물 검색

개인정보 처리방침 서비스 이용약관 상단으로

사단법인부산 흥사단부산광역시 동구 홍곡로 91번길 2
Tel (051) 469-1129 Fax (051) 468-0140 e_mail: busan@yka.or.kr
Copyright © 사단법인 부산흥사단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휴먼소프트 연락처:051-636-6311 email: human@humansoft.kr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